Cloud/OpenStack

오픈스택 (OpenStack)이란 무엇인가 ?

Woogie On & On 2024. 3. 22. 00:11

오픈스택 (OpenStack) 이란 ?


오픈스택(OpenStack)은 대규모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리소스 풀을 제어하는 클라우드 운영 체제로,
공통 인증 메커니즘을 갖춘 API를 통해 관리 및 프로비저닝 된다.
대시보드도 제공되어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소스를 프로비저닝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표준 서비스형 인프라 기능(IaaS) 외에도 추가 구성 요소는 오케스트레이션, 장애 관리, 서비스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고가용성을 보장한다
즉, 오픈 스택은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컴퓨팅 플랫폼이다.

2010년 랙스페이스(Rackspace)사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오픈스택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년 뒤인 2012년 비영리 단체 OpenStack Foundation이 설립되어 현재까지 개선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다.

오픈스택 릴리스


오픈스택(OpenStack)은 2010년 10월 오스틴(Austin)을 시작으로 2012년부터는 약 6개월 주기로 개발 및 릴리스 된다.
릴리스 표를 보면 A-Z까지 알파벳 순서로 프로젝트의 코드명을 붙인다.

오픈스택 릴리스 (출처 : https://releases.openstack.org)


오픈스택 구성요소

오픈스택은 필요에 따라 구성요소를 플러그 앤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서비스로 세분화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코어 구성요소로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ID, 이미지를 처리하는 6가지 안정적인 핵심 서비스가 있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수십 가지 이상의 옵션이 제공된다.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도 가장 핵심이 되는 6가지 핵심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Compute (Nova)

OpenStack 컴퓨팅 리소스를 위한 전체 관리 및 액세스 툴로 스케줄링, 생성, 삭제를 처리한다.

 

Networking (Neutron)

OpenStack 서비스 전반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Blcok Storage (Cinder)

셀프서비스 API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퍼시스턴트 블록 스토리지이다.

 

Object Storage (Swift)

오브젝트 스토리지로 Restful API를 사용해 구조화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검색한다.

 

Identity (Keystone)

OpenStack 서비스 인증 및 권한을 부여, 모든 서비스를 위한 엔드포인트 카탈로그의 역할도 한다.

 

Image (Glance)

다양한 위치에 있는 가상 머신 디스크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검색한다.

오픈스택의 장단점

장점

사용자 및 개발자 커뮤니티의 활발함
다양한 환경과 플랫폼에 구축과 배포 가능성
커스터마이징 및 확장성
비용 절감

 

단점

구축과 관리의 복잡성
기술 지원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
성능과 안정성


📋 참고 : https://altocloudwise.com/1